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5

어휘력 키우기 수학 PART1 자연수 소수 합성수 자연수 : 자연스러운 수 自(스스로 자) 然(그러할 연) 數(셀 수) 1부터 시작하여 하나씩 더하여 얻는 수 사물의 개수를 셀때 쓰이는 수여서 자연수라고 부른다 즉,자연스러운 수 라고 칭하는것과 같다 자연수는 홀수와 짝수로 구분할수 있다 2로 나누어떨어지는 수를 짝수 2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수를 홀수 소수 : 하얀 천처럼 바탕이 되는 수 素(흴 수) 數(셀 수)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 2,3,5,7,9 등이 있다. 소수는 약수가 2개뿐임. 소수는 다른수를 만들수 있는 바탕이 되는 수 이다. 소수가 아닌 자연수는 소수끼리의 곱으로 나타낼수 있다. 합성수 : 둘 이상의 소수를 곱한 수 合(합할 합) 成(이룰 성)數(셀 수) 둘 이상의 소수를 곱한 수. 예를 들어 4.. 2023. 1. 2.
어휘력 키우기 사회PART1 지도 경위 위도 지도 : 지구의 표면을 그린 그림 地 (땅 지) 圖 (그림 도) 지구 표면의 일부나 전부를 평면에 나타낸 그림. 정확한 지리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일정한 비율로 땅의 크리를 줄이고 약속된 기호나 문자를 사용해서 나타냄 동서남북을 나타내는 방위도를 정확히 표현해야 한다. 지도를 자세히 보면서 많이 듣는 단어가 있다 바로 위도 와 경도 다. 위도: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를 가로로 나눈 정도 偉 (가로 위) 度(법도 도) 남과 북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치 다. 위도에 따라 기후가 달라진다. 위도가 낮은 저위도의 적도 부근을 열대기후 고위도의 극지방은 추운 한대기후 경도: 본초자오선을 기분으로 지구를 세로로 일정하게 나눈 정도 經(날실 경) 度(법도 도) 동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치다 남극과 북극을 잇는 자오.. 2023. 1. 1.
경제학의 역사 ,분야 대학교 다니던 때에 외우기도 하고 시험도 본 내용 중 하나이다. 2022년에 다시 경제를 알아보고 싶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우선 경제학의 역사에 관해 이야기해보겠다 경제학의 역사 경제학이 학문으로 자리 잡은 것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이후라고 한다. 국부론을 출판할 때, 각 개인의 경제적자유는 지금처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개인의 경제활동 자체를 국가가 통제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고, 세금·수출입 규제 등은 자의적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애덤 스미스가 시장의 자율적인 조정 능력을 강조했고, 개인이 사적으로 이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놔두는 것이 사회 전체의 이익을 준다고 말했다. 국가가 개인의 경제활동에 개입하지 않아도 시장에서의 자연스러운 가격조정을 통해서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룬다고 주장.. 2022.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