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어휘력기르기3

경제어휘력 - 빅블러 빅블러 (Big Blur) :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존에 존재하던 것들의 경계가 뒤섞이는 현상을 말한다. 첨단기술의 발전, 사회환경의 변화 등이 빅블러 현상을 촉진시켰다. 경제 융화가 일어나는 현상 을 의미한다. 소비자의 역할, 기업 관심사, 서비스 역할, 비즈니스모델, 산업장벽, 경쟁범위의 6가지 측면에서 동시다발적인 힘이 작용하며 생산자-소비자, 소기업-대기업, 온오프라인, 제품 서비스간 경계융화를 중심으로 산업/업종간 경계가 급속하게 사라지는 현상을 뜻한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함께 많이 언급되는 ESG (환경보호, 사회가치 구현, 지배구조 투명성)도 빅블러 현상 중 하나의 현상이다. ESG 로 말하는 세 가지는 기존에 비시장 영역에 속하는 가치로 여겨졌는데 이제 사회와 기업은 영리.. 2023. 2. 4.
경제어휘력 기르기 - 공공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대상을 제한하지 않는 방식으로 누구나 네트워크에 접속해 신용카드 등의 결제만으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고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구조를 갖는 공중 인프라를 말한다. AWS 의 아마존이 가장 많은 시장점유율을 차지 하고 있다. 한국의 공공 클라우드 시장은 전 세계 시장의 1% 에 지나지 않는다. 클라우드 기업 자체에 대한 신뢰여부도 문제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주체는 언제든지 고객의 데이터를 다 볼수 있기때문이다. 보안을 체크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 19 로 인해서 질병관리청의 코로나 백신 예약 사이트가 마비가 된것을 시작으로 백신예약 10부제를 운영하게 되면서 서버폭주를 막을 수 있었다. 이때 정부의 전자 정부 시스템을 제공하는 공공클라우드 를 도입한 것이 주효했.. 2023. 1. 27.
경제어휘력 기르기 - 디지털세 디지털세 : 영업하는 위치와 관계없이 기업 매출에 따라서 세금을 부과하는 법인세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아마존닷컴 등 이 인터넷을 통해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국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익에 대한 법인세는 실제 법인이 있는 미국이나 아일랜드등 지사가 있는 일부의 국가로 납부가 되고 있다고 한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가 유로 컨텐츠나 광고매출 등에 부가가치세등을 부과하고 있는데 여기에 매출에 따른 세금외에 받지 못하는 역외 법인세를 대신해 해외서비스 사업자에게도 자국 내의 영업이익이 아닌 매출에 따른 관세 개념의 새로운 세금을 해외의 법인에게 부과하려는 것이다. 어렵다 무슨말인지 쉽게 이야기 해보겠다 일정금액 이상의 초과이익에 대해서 세금 권한을 매출 발생국에 배분해서 과세 하겠다.. 2023.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