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5

경제어휘력-등대공장 등대공장: 등대가 배를 안내하는 것처럼 사물인터넷, 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도입해 제조업의 혁신을 이끄는 공장을 일컫는 말로, 세계경제포럼이 2018년 부터 선정하고 있다. 한국에는 처음으로 2019년 7월 포스코가 등대공장에 등재됐다 2021년에는 전력-자동화 -스마트 에너지 전문기업 LS 일렉트릭의 청주 스마트 공장이 글로벌 제조산업 미래를 선도할 세계등대공장이란 현판을 달게 되었다. K-스마트등대공장은 세계경제포럼이 제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는 전 세계의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는 글로벌 등대공장을 벤치마킹해 국내의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선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곳 (2022년 10월기준)은 코스메카코리아 ,프라코,우성정공,현대정밀 등이다. 선정기업.. 2023. 1. 30.
어휘력 키우기 국어 PART5 잘다 지천 진동하다 칠칠하다 하롱하롱 흉물 잘다: 알곡이나 과일, 모래 등의 둥근 물건이나 글씨의 크기가 작다. 예) 마늘을 잘게 다졌다 :생각이나 성질이 대담하지 못하고 좀스럽다 예)그 사람은 됨됨이가 잘아서 큰일은 못하겠네. 지천: 매우 흔함 숲에 잡초가 지천으로 널려있다 진동하다: 흔들려 움직이다 예) 휴대 전화가 진동하는 소리가 크게 들렸다 :냄새 따위가 아주 심하게 나다 예) 아침부터 빵 냄새가 진동했다 칠칠하다: 주로 '못하다' '않다' 와 함께 쓰여 옷차림이나 모양새가 깨끗하고 단정하다. 예) 그의 칠칠하지 못한 옷차림으로 어떤 상황인지 상상할 수 있었다. :주로 '못하다' '않다' 와 함께 쓰여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지다 예) 그는 칠칠하지 못해서 상사에게 야단을 맞았다 하롱하롱: 작고 가벼운 물체가 떨어지면서 잇따라 흔.. 2023. 1. 29.
경제어휘력 기르기 - 공공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대상을 제한하지 않는 방식으로 누구나 네트워크에 접속해 신용카드 등의 결제만으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고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구조를 갖는 공중 인프라를 말한다. AWS 의 아마존이 가장 많은 시장점유율을 차지 하고 있다. 한국의 공공 클라우드 시장은 전 세계 시장의 1% 에 지나지 않는다. 클라우드 기업 자체에 대한 신뢰여부도 문제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주체는 언제든지 고객의 데이터를 다 볼수 있기때문이다. 보안을 체크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 19 로 인해서 질병관리청의 코로나 백신 예약 사이트가 마비가 된것을 시작으로 백신예약 10부제를 운영하게 되면서 서버폭주를 막을 수 있었다. 이때 정부의 전자 정부 시스템을 제공하는 공공클라우드 를 도입한 것이 주효했.. 2023. 1. 27.
경제어휘력 기르기 - 그린스완 그린스완: 녹색백조 라는 뜻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의 파괴적 위기를 가리킨다. 미국 월스트리트의 투자전문가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가 2007년 제기한 이후 불확실한 위험을 가리키는 용어로 자리잡은 블랙스완을 변형한 것이다. 자연재해로 인해 농산물과 에너지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단기간 식료품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과 혹한으로 노동생산성이 급락할 우려도 제시했다. 아울러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홍수, 폭염 등의 자연재해로 각국 금융기관, 기업,가정등의 경제적비용과 재정적 손실이 증가할 것으로도 전망했다. 블랙스완은 911같은 테러나 세계금융위기 같은 예측하지 못한 큰 사건을 말하는데, 코로나19 팬데믹은 그린스완으로 분류를 한다. 생태계의 변화와 관련있기 때문이다.. 2023. 1. 24.
경제어휘력 기르기 - 디지털세 디지털세 : 영업하는 위치와 관계없이 기업 매출에 따라서 세금을 부과하는 법인세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아마존닷컴 등 이 인터넷을 통해서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국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익에 대한 법인세는 실제 법인이 있는 미국이나 아일랜드등 지사가 있는 일부의 국가로 납부가 되고 있다고 한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가 유로 컨텐츠나 광고매출 등에 부가가치세등을 부과하고 있는데 여기에 매출에 따른 세금외에 받지 못하는 역외 법인세를 대신해 해외서비스 사업자에게도 자국 내의 영업이익이 아닌 매출에 따른 관세 개념의 새로운 세금을 해외의 법인에게 부과하려는 것이다. 어렵다 무슨말인지 쉽게 이야기 해보겠다 일정금액 이상의 초과이익에 대해서 세금 권한을 매출 발생국에 배분해서 과세 하겠다.. 2023. 1. 20.
경제어휘력 기르기 - 매스티지 매스티지: mass + prestige 매스티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스티지(Masstige, prestige for the masses, 준명품)는 고급품을 일반 대중이 비교적 쉽게 살 수 있도록 만들어 새로운 브랜드로 내놓는 것을 가리키는 마케팅 용어이 ko.wikipedia.org 준명품 이라고 불리는 이 말은 고급품을 일반 대중이 비교적 쉽게 살 수 있도록 만들어 새로운 브랜드로 내놓는 것을 가리키는 마케팅 용어다. 메스티지는 주로 패션 제품, 식료품, 속옷 등의 분양에 집중되어 있다. -가구 규모의 축소와 가구당 수입 규묘의 증대 -대중들의 선호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라이프 스타일을 홍보하는 대중 잡지의 인기 -가정과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의 증.. 2023.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