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20

금융이 어떻게 실물경제를 좌우할까? 금융이 어떻게 실물경제를 좌우할까? 실물경제와 금융경제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움직인다. 하지만 어느 한쪽이 우세한 경우도 있다. 대게 실물경제가 주축을 이룰때는 발전수준이 낮은 경우이고 금융경제는 실물경제에 이끌려 움직이게 된다. 경제발전 수준이 높아지면 자본축적이 늘면서 금융경제도 실물경제 못지 않게 활발해진다. 보통 실물경제가 침채했을때는 기업실적이나 자금 사정이 좋지 않다. 금융경제 영역, 즉 주식시장도 함께 맥을 못 추게 마련이다. 하지만 오히려 주식투자가 늘어 날 때가 있다. 시세가 살 때 주식을 사두려는 저가 매수 수요가 움직이면 일어나는 일이다. 일시적으로 주가가 뛰고 투자자가 가세하면 시장이 더 활발해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기업은 주식을 팔아서 사업자금을 마련하기 쉬워지므로 투자.. 2023. 4. 9.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돈의 흐름을 알아야 경제가 어떤지 알 수 있다. 경제는 돈을 매개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돈의 흐름을 기준으로 보면 경제를 크게 두 분야로 나누어서 이야기 한다. 상품과 서비스를 거래할떄 실물과 돈이 함께 움직이는 분야, 그리고 돈만 움직이는 분야다. 여기서 실물이란, 돈을 제외한 재화를 통칭하는 말이다. 예를들어보겠다. 돈을주고 자동차를 산다고 하자. 돈이라는 것 자체는 자동차를 타서 즐거워하는 욕구를 직접적으로 채워주는 실체는 없다. 하지만 자동차는 나의 드라이브 욕구를 직접 만족시켜주니까 돈하고는 다르게 실체가 있는 real thing 인거다. 손에 잡히는 형태는 없미나 욕구를 채워주므로 실물에 속한다고 생각하면된다. 이렇게 재화를 거래할때 실물과 실물이 아닌 재화(돈)이 함께 움.. 2023. 3. 29.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기사를 읽거나 경제관련 이야기를 들을때 한번씩은 들어보는 용어가 있다. 바로 미시경제,거시경제다. 큰 범위로 보는것이 거시경제, 시야를 작게 보는것이 미시경제라고 한다. 거시적이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특수 장비나 기술 없이 보거나 측정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것을 말한다. 국민경제를 볼때 거시관점은 국민경제 전체가 움직이는 과정과 결과에 주목하는것이고 미시적관점은 가계,기업,정부 등 3대 경제 주체가 하는 활동 하나하나를 보는것이다. 재화 가격 추이를 파악할때도 미시관점으로는 버스요금,음식값등을 보는것이고 거시관점으로는 여러가지 재화의 가격을 합쳐 평균을 낸 값, 곧 물가 개념으로 추이를 파악하는것이다. 경제지표도 비슷하게 구분할 수 잇는데 개별 기업이 올리는 매출액증가율이나 이익증.. 2023. 3. 20.
경제 상태는 무엇으로 알아볼까? 우리는 경제가 좋은지 나쁜지 무엇을 보고 말을할까? 경제 상태는 무엇으로 알아볼까? 일상생활을 하면서 나의 상태나 주변 상황을 보고 말을 하곤 한다. 가게를 하시는 사장님이 매출이 없을때 요즘 경기 좋지 않네~ 라고 하는것과 같은 느낌이다. 이런 느낌으로 측정하는것 말고 정확한 방법이 있긴 하다. GDP : 국내총생산 - 특정기간 동안 (보통 1분기나 1년으로 측정) 국가의 국경내에서 생산된 상품 및 서비스의 총 가치를 나타낸다. GDP가 높을 수록 경제 규모가 크며 일반적으로 경제활동이 증가 했음을 반영한다. 실업률: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구하고 있지만 일자리를 찾을 수 없는 사람들의 비율을 측정한다. 실업률이 높으면 경제활동이 약해지고 성장이 둔화 된다고 보면 된다. 인플레이션: 시간 경과에 따른 상품.. 2023. 3. 13.